건강정보방

비만패러독스

서윤이1 2017. 3. 21. 15:20



지난 25일 방송된 SBS 스페셜에서는 비만한 사람이 더 장수한다는 내용이 전파를 타 눈길을 끌었다.

이날 방송에서는 심근경색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50대 남성 두 명의 이야기가 다뤘다.

마른 체형인 한 남성과, 의사들에게 체중 감량을 권유받을 정도로 뚱뚱한 체형의 또 다른 남성. 이 둘 중 뚱뚱한 체형의 남성은 얼마 후 몸 상태가 호전돼 퇴원했고, 마른 체형의 남성은 사망하고 말았다.

흔히 알려진 상식에 반하는 이런 사례는 뜻밖에도 병원에서는 드물지 않게 관찰되는 일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른바 '비만 패러독스(obesity paradox)'로 명명된다.

뇌와 스트레스에 대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비만은 스트레스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실제로 취재진이 스트레스와 체형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스트레스 상황에서 마른 사람들이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마른 사람이 스트레스 호르몬의 부작용을 받을 가능성이 훨씬 높고 이로 인해 복부비만이 될 가능성도 더 많다는 것.

또한 비만 연구가들은 비만인들이 병에 잘 걸리는 이유로 다이어트 부작용을 들기도 한다. 즉, 비만 그 자체는 죄가 없다는 것.

방송을 접한 누리꾼들은 "비만의 역설 놀랍다" "비만의 역설, 진짜일까?" "비만의 역설, 마른 사람이 더 위험하다고?" 등의 반응을 보였다.




**. 비만이 일으키는 질병

1) 당뇨병
2) 지방간
3) 고지혈증
4) 동맥경화증
5) 허혈성 심장질환
6) 관절염
7) 고혈압
8) 담석증
9) 수면 무호흡 증후군
10) 악성 종양
11) 사고사
12) 심리적 질환

Ⅲ. 결론

비만에 좋은 운동 및 식생활

본문내용

Ⅰ-1 비만의 이란
많은 사람들은 비만이라 함은 단순히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공식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몸무게는 자신의 키에서 100을 뺀 수에 곱하기 0.9를 하면 정상표준 몸무게가 나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만 생각하면 정상 몸무게를 넘어서면 비만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단순히 몸무게만을 근거로 비만의 정의를 내리지 않습니다. 우리몸을 구성하는 요소를 크게 나누어 보면 수분이 70% 이상이고, 단백질 , 지방 , 미네랄(무기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요소들의 밸런스가 깨졌을 때 비만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혹은 겉으로 보기엔 날씬한 사람도 속을 들여다보면 비만인 경우 즉 마른비만인 사람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렇다면 비만의 정의는 무엇일까요?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근육)과 지방(체지방) 중에서 체지방률이 과도하게 높은 것을 비만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에는 적절한 단백질과 적절한 지방이 있어야 제대로 살아 갈 수 있는데, 이중에서 지방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장기를 보호하고, 추위로부터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등 우리가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성분임에는 틀림없지만, 단백질과는 달리 지방이 과도하게 많아지면 병이 생깁니다.

< 중 략>

10) 악성 종양
비만이 건강을 위협하는 이유는 다양한 암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비만한
여성을 위협하는 암으로는 유방암과 자궁암을 들 수 있고, 육류의 과잉섭취에 의한
비만은 대장암의 발병확률을 높인다. 이러한 악성 종양(cancer)은 지방질의 섭취를
줄이고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좋은 예방책이 될 수 있다.
11) 사고사
비만은 기초체력의 저하를 가져온다.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심폐지구력, 근력,
유연성의 저하로 위험한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대처하는 방어능력이 떨어져 교통사
고, 낙상 등의 각종 사고를 당할 수 있다. 기초체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 비만인
사람이 무리 없이 운동을 수용할 수 있다.









'건강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합병증이다  (0) 2017.03.21
복부비만  (0) 2017.03.21
대사증후군 ....  (0) 2017.03.21
설탕보다 몸에 좋은 천연 감미료 5가지  (0) 2017.03.21
국산곡류의효능  (0) 2016.12.15